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디트로이트(2017) 실화 영화 추천 및 영화배경

1. 디트로이트(2017) 줄거리

"디트로이트"는 캐스린 비글로우 감독이 연출하고 2017년에 개봉한 사극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도시의 흑인 사회와 경찰 사이의 인종적 긴장으로 촉발된 1967년 디트로이트 폭동 당시 발생한 알제 모텔 사건의 실화를 바탕으로 합니다.
이 영화는 경찰관과 주방위군이 총격에 대한 보고에 대응하여 건물을 급습했을 때 알제 모텔에 머물고 있던 아프리카계 미국인 남성 그룹과 두 명의 백인 여성을 따라갑니다. 경찰과 경비원들은 총성의 출처에 대한 자백을 강요하기 위해 모텔의 거주자들을 체포하고 잔인한 심문과 고문을 가했습니다. 무장하지 않은 세 명의 흑인 남성을 살해하고 다른 여러 명을 잔인하게 구타하는 것을 포함하여 그날 밤의 사건들을 묘사합니다. 사건에 연루된 경찰관들에 대한 후속 수사와 재판도 보여줍니다. 

디트로이트의 출연 배우로는 모텔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에 휘말리는 경비원 역할의 존 보예가, 인종차별주의자 경찰관 역할의 윌 폴터, 그리고 폭력을 목격하는 젊은 음악가로 알제 스미스가 출연합니다. 이 영화는 사건들과 출연진들의 강력한 연기에 대한 긴장감 있고 본능적인 묘사로 찬사를 받았습니다.

 

2. 역사적 배경

알제 모텔 사건은 1967년 디트로이트 폭동 때 일어난 폭력적이고 비극적인 사건으로 디트로이트 반란이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폭동은 1967년 7월 23일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다수인 지역의 무면허 방과후 클럽에 대한 경찰의 급습 이후 시작되어 5일 동안 계속되었습니다. 폭동으로 43명이 사망하고 1,100명 이상이 부상을 입었으며 7,000명 이상이 체포되었습니다.

폭동 사흘째인 1967년 7월 25일, 경찰과 주방위군의 무리가 폭동의 진원지 근처에 위치한 알제 모텔을 급습했습니다. 경찰과 경비원들은 그 지역에서 저격수가 발포했다는 보고에 대응하고 있었고, 그들은 총이 모텔에서 발사된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경찰관들은 모텔로 들어가 그곳에 머물고 있던 한 무리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남성들과 두 명의 백인 여성들을 체포했습니다. 그들은 총기의 출처에 대한 자백을 강요하기 위해 거주자들에게 잔인한 심문과 고문을 가했습니다. 이 사건으로 무장하지 않은 흑인 3명이 사망했고, 다른 몇 명은 심하게 구타당했습니다.

제 모텔에서 일어난 일의 정확한 세부 사항은 전체 사건에 대해 알려진 목격자가 없기 때문에 논란이 되고 불분명합니다. 하지만 경찰과 경비원들이 과도하고 불필요한 무력을 사용했고, 이 사건은 당시 디트로이트에 존재했던 체계적인 인종차별과 경찰의 만행을 보여주는 사례라는 게 정설입니다.
알제 모텔 사건은 디트로이트 폭동의 초점이 되었고 그 이후 수년간 많은 조사와 논쟁의 주제가 되었습니다. 그것은 그날 밤의 사건들을 드라마화한 2017년 영화 "디트로이트"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3. 총평

전반적으로 '디트로이트'는 알제 모텔 사건의 긴장과 폭력, 디트로이트 폭동의 더 큰 맥락을 효과적으로 포착한 잘 짜여진 강력한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강렬하고 매력적이며, 무장하지 않은 세 명의 흑인 남성의 죽음으로 이어진 잔인함과 인종차별을 묘사하는 것을 피하지 않습니다.

특히 출연진들의 활약이 돋보입니다. 존 보예가는 모텔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에 휘말리는 경비원으로 매력적인 연기를 선보입니다. 윌 폴터는 모텔의 거주자들에게 폭력을 가하는 인종차별주의 경찰로서 불안할 정도로 설득력이 있습니다. 그리고 Algee Smith는 밤의 폭력과 트라우마를 목격하는 젊은 음악가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영화는 특정 인물들과 사건들을 묘사한 것 때문에 약간의 비판에 직면했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영화가 경찰관들의 관점에 너무 중점을 두고 아프리카계 미국인 희생자들의 경험에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했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그 사건에 주 방위군이 연루된 것과 같은 특정한 역사적 사실에 대한 영화의 묘사를 문제 삼았습니다.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디트로이트"는 인종, 정의, 그리고 우리 사회에서 법 집행의 역할에 대한 중요한 질문들을 제기하는 생각을 불러일으키고 영향을 주는 영화입니다. 그것은 우리의 현재를 계속 형성하고 있는 과거의 부당함에 대한 처참한 기억이며, 보다 정의롭고 공정한 미래를 위해 노력하라는 행동의 촉구의 역할을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