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휴대폰 요금 할인 받는 방법

선택약정할인 받는 방법

1. 휴대폰 요금 할인방법 - 선택약정할인

휴대폰 할인 방법에는 공시지원금 할인과 선택약정 할인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아이폰과 같이 공시지원금이 작인 모델의 경우 선택약정할인을 선택해 가입하는 방법이 휴대폰을 더 저렴하게 구매하는 방법입니다. 휴대폰 요금 할인받을 수 있는 방법인 선택약정할인은 요금제 금액의 25%를 할인받습니다. 휴대폰 요금 할인받을 수 있는 방법인 선택약정 할인은 받을 수 있는 대상자가 따로 있습니다. 바로 새 휴대폰을 구입하여 사용하는 대상자와 2년 약정이 만료가 된 후 추가 약정을 하는 대상자와 자급제 단말기 혹은 중고폰을 구매한 대상자입니다.

특히 2년 약정이 만료가 된 후 요금할인을 받을 수 있는지 없는지 모르신다면 간단하게 114 고객센터에 전화하시는 방법이 가장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2. 공시지원금에서 선택약정 할인으로 변경하는 방법.

휴대폰을 구매하실 때 2년 기준의 공시지원금과 선택약정할인 금액을 비교하셔서 지원금이 더 큰 할인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할부원금만 보고 공시지원금으로 개통을 한 경우 24개월 동안 할인받을 수 있는 금액보다 더 작아 손해를 입는 경우도 있는데 이럴 경우 선택약정 할인으로 변경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통신사마다 다르기 때문에 통신사 별로 알려드리겠습니다. SKT는 기존 공시 지원금에 대한 위약금 납부 후 바로 선택약정할인으로 가입가능합니다. KT는 최초 개통일로 부터 183일이 지난 후 공시 위약금을 납부 후 선택약정으로 변경 가능합니다. LG통신사는 기존 공시지원금의 위약을 납부 후 바로 선택약정할인으로 가입 가능합니다.

 

공시지원금과 선택약정할인 중 어떤 할인이 더 유리한지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휴대폰 구매 시 내가 사용할 요금제의 공시지원금 금액과 24개월 동안 선택약정으로 가입했을 때 할인받을 수 있는 총금액을 비교하셔서 더 할인이 큰 것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새로 출시된 아이폰의 경우 공시지원금이 매우 작기 때문에 약 90%가 선택약정할인으로 개통을 합니다.

 

3. 선택약정할인 유의사항

선택약정할인은 요금제에 약정할인을 받는 방식입니다. 약정이 만료되기 전에 통신사를 변경하시거나 해지를 하게 되면 위약금이 발생합니다. 선택약정할인의 위약금은 할인받은 금액만큼 위약금이 발생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위약금이 더 커지는 방식입니다. 이 위약금은 할인반환금이라고 불리며 할인반환금 산정 방식은 2년 약정 기준으로 6개월 이하로 사용했을 시 누적 할인액 X 100%이며, 7개월 이상 사용했을 시 할인 반환금은 누적 할인액 X (잔여약정일 수 / (약정기간 -180일))입니다. 사망 혹은 이민 등 불가피한 사유로 서비스 이용이 불가능한 경우는 할인 반환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처음에 약정 기간 선택 후 중도에 약정 기간 변경은 안됩니다. 즉 2년 약정에서 1년 약정으로 변경은 안됩니다.

 

요금제 별 선택 약정 할인 금액을 알려드리겠습니다.

SKT 통신사 기준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슬림요금제는 월 13,750원 할인, 5GX 레귤러 요금제는 월 17,270원 할인, 5GX스탠더드 요금제는 월 18,755원 할인, 5GX 레귤러 플러스 요금제는 월 19,800원 할인, 5GX 프라임 요금제는 월 22,275원 할인, 5GX 플래티넘 요금제 월 31,295원 할인을 받습니다.

 

4. 복지 대상 할인

장애인, 아동복지시설, 특수학교 : 기본료 35% 할인, 데이터통화료 35%할인, 국내음성 통화료 35% 할인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생계, 의료급여 수급자는 최대 28,600원 내로 월정액 할인이 되고 국내음성통화료와 데이터 통화료는 50% 감면받습니다. 주거, 교육급여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은 최대 12,100원 내로 월정액 할인이 되며 감면 후 나머지 기본료, 국내음성통화료, 데이터 통화료는 35% 감면받습니다. 기초연금 수급자의 경우 기본료, 국내음성통화료, 데이터통화료 합산금액의 50% 감면을 받는데 최대 감면액은 12,100원입니다.

신청방법은 본인 신분증과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장애인 증명서, 수급자 증명서만 있으면 간단하게 신청가능하며 정부 24와 복지로 사이트에서도 복지 혜택 등록이 가능합니다.

반응형